연금계좌나 ISA에서 미배당다우는 별로고 리츠는가능? 연금계좌 (IRP, 연금저축), ISA에서 하기 괜찮은 것들 찾아 보고 있는데요,
연금계좌 (IRP, 연금저축), ISA에서 하기 괜찮은 것들 찾아 보고 있는데요, 이것저것 찾아 보니 확실히 이견이 없는 것으로는 연금계좌와 ISA에서 가장 선호되는 것은 국내 상장 미국 ETF 성장형 인 것 같네요,특히, 연금계좌에서는 절대적으로 국내 상장 미국 ETF 성장형이 베스트인 것 같고,,,연금계좌에서 리밸런싱 혹은 약간의 보완 목적으로 추천한다면 역시 미국 장기채가 베스트인 것 같고요, ISA에서도 동일하게 국내 상장 미국 ETF 성장형이 베스트인데,,결국, 연금계좌와 ISA 모두 국내 상장 미국 ETF 성장형이 베스트인데,,그나마 ISA 에서는 일부 자산의 경우 국내 상장 미국 ETF 배당형 혹은 국내 고배당주 ETF도, 심지어는 일반 국내 ETF도 어느 정도 가능은 하겠다 뭐 이런 느낌이네요, 어찌되었던 연금계좌 혹은 ISA 같은 절세 계좌에서는 가능한 국내 상장 미국이던 순수 국내던 가능하면 배당형은 좀 배제하는 뭐 그런게 있는 것 같고요, ISA에서는 그래도 나름 괜찮을 수도 있고요, 아니면 ISA 에서도 순수 국내 고배당주 ETF는 어느 정도 괜찮은데 미국배당다우존스 같은 국내 상장 미국 ETF는 역시나 ISA 보다 그냥 일반 계좌가 나을까요,,그런 관점이라면 자산 배분에서 미국주식, 미국채권, 그리고 글로벌 리츠나 원자재 같은 일부 실물을 담는데,,글로벌 리츠 같은 것 보면 역시나 미국배당다우존스를 능가하는 배당형인데 연금계좌나 IRP에서 글로벌 리츠 넣는 건 자산 배분으로 선호되고 미국배당다우존스 넣는 건 배당소득세로 인해 더 이상 메리트가 없다라는 게 맞는 말인건지 참 어렵네요,,그리고 이건 전혀 다른 궁금증인데,,,ETF 보다보면 합성 혹은 합성 H 뭐 이런게 붙어있는데,,H는 환헷지인 것은 알겠고,, 환율 효과는 제거되었으니 순수하게 자산 변동을 보면 될 것이고 언헷지 대비 약간의 추가 수수료가 더 있겠지요, 똑같은 ETF인데 그냥도 있고 합성이라고 붙은 것도 있고 그런 경우 있던데 합성 이거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요,,
연금계좌나 ISA에서 리츠는 좋은 방법일 수 있어요
미국 배당다우보다는 리츠가 더 유리할 것 같네요
합성 ETF는 환헤지로 변동성을 줄이려는 방법으로 이해하면 좋을 듯 해용!!
하루 잘 보내세요!